본문 바로가기
복지정책정보

'만 나이 통일법' 시행, 만 나이 계산법은?

by 지피지기 생활연구소 2023. 6. 22.

6월 28일부터 시행되는 '만 나이 통일법' 다들 알고 계시죠?

나이를 물었을 때 한국식 나이, 만 나이, 연 나이 등 복잡하고 헷갈리는 나이 셈법!

만 나이 통일법 시행으로 우리 일상에서 나이로 인한 혼란이 사라지길 바라면서 만 나이 계산법과 궁금한 점들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.



'만 나이'란?

출생일을 기준으로 0살로 시작하여 생일이 지날 때 마다 1살씩 더하는 나이 계산법

※ 다만, 1세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개월 수로 나이를 표시!


'만 나이'는 계산법은?

▶ 올해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

이번 연도 - 태어난 연도 - 1 = 현재 나이

ex) 2023 - 1992 -1 = 30세

▶ 올해 생일부터

이번 연도 - 태어난 연도 = 현재 나이

ex) 2023 - 1992 = 31세


'만 나이 계산기'로

나이를 손 쉽게 확인!

국가법령정보센터 앱 및 법제처 홈페이지 (www.moleg.go.kr) 등

온라인 포털에서 만 나이 계산기를 검색하면 쉽게 확인 가능!


'만 나이 통일법'이 시행되면?

▣ 우리 일상에서 나이로 인한 혼란이 사라질 것으로 기대됩니다.

▶ 특별한 규정이 없으면 법령, 계약서, 문서 등에 나오는 나이는 '만'자가 없어도 만 나이를 의미해요.

▶ 앞으로는 법령, 계약서, 문서 등에 사용된 나이가 한국식 나이, 만 나이, 연 나이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를 두고 일어났던 법적 다툼이나 민원이 없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해요.


Q. 만 나이를 사용하면 같은 학년 친구에게도 형, 누나, 언니, 오빠라고 불러야 하는 걸까요?

A. 만 나이를 사용하면 같은 반에서도 생일에 따라 나이가

다르게 되는 상황이 오겠지요?

처음에는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, 친구끼리 굳이 호칭을 다르게 쓸 필요는 없어요!

(만 나이 사용이 익숙해지면 한두 살 차이를 엄격하게 따졌던 서열 문화도 점점 사라질 거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.)

Q. 초등학교 취학 의무 연령에 변화가 있을까?

A. 초등학교 입학 나이는 동일해요.

[초. 중등교육법]에 따라 종전과 동일하게 만 6세가 된 날이 속하는 해의 다음 해 3월 1일에 입학하게 됩니다!

Q. 연금 수급 시기, 정년 등이 달라지는 걸까?

A. '만 나이 통일법'시행 전에도 법령상 나이는 만 나이로 계산해왔어요. 즉 연금 수급 시기, 정년 등이 변경되는 것은 없습니다.

▶ '만 나이 통일법'에 대한 더욱더 자세한 내용은 법제처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서 확인하시면 됩니다!

※ 자료 출처 : 법제처, 보건복지부


이렇게 '만 나이 통일법'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!

나이가 여러 개라 헷갈렸던 게 해소가 되려나요?

만 나이 계산법 기억하시고 국제적 기준인 만 나이에 적응합시다!